日국민 “한국과 관계 악화 당연…일본이 노력할 필요 없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日국민,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판결을 무리한 주장으로 인식
일본 국민 10명 중 7명은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판결 이후 악화된 한일 관계가 개선되지 않아도 상관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요미우리신문이 22~24일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2%는 "한국이 받아들이기 힘든 주장을 하는 한 관계 개선이 되지 않아도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관계 개선을 위해 일본이 한국에 다가가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는 대답은 22%에 그쳤다.
일본 국민들에게 강제징용에 대한 한국 대법원의 배상 판결은 받아들이기 힘든 주장이며, 이러한 주장을 하는 이상 한국과 관계 개선은 필요치 않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다.
오는 27~28일 베트남에서 열리는 2차 북미정상회담과 관련해서는 응답자의 53%가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 해결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북한의 비핵화를 기대했지만, 지난해 5월 1차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실시한 여론조사에 비하면 응답률이 13%포인트 감소했다.
요미우리는 1차 정상회담 이후 북한의 비핵화에 구체적인 진전이 보이지 않았던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의 지지율은 전월과 같은 49%였다. 후생노동성의 노동 통계 부정 문제가 아베 정권의 발목을 잡는 상황에서 문희상 국회의장의 일왕 사죄 발언이 일본 보수층을 결집시킨 결과로 풀이된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요미우리신문이 22~24일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2%는 "한국이 받아들이기 힘든 주장을 하는 한 관계 개선이 되지 않아도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일본 국민들에게 강제징용에 대한 한국 대법원의 배상 판결은 받아들이기 힘든 주장이며, 이러한 주장을 하는 이상 한국과 관계 개선은 필요치 않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다.
오는 27~28일 베트남에서 열리는 2차 북미정상회담과 관련해서는 응답자의 53%가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 해결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답했다.
ADVERTISEMENT
요미우리는 1차 정상회담 이후 북한의 비핵화에 구체적인 진전이 보이지 않았던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의 지지율은 전월과 같은 49%였다. 후생노동성의 노동 통계 부정 문제가 아베 정권의 발목을 잡는 상황에서 문희상 국회의장의 일왕 사죄 발언이 일본 보수층을 결집시킨 결과로 풀이된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