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프랜차이즈 수사에서 생각해야 할 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고윤상 지식사회부 기자 kys@hankyung.com
![[취재수첩] 프랜차이즈 수사에서 생각해야 할 점](https://img.hankyung.com/photo/201805/07.14637521.1.jpg)
검찰이 유명 프랜차이즈 브랜드 ‘본죽’대표를 배임 혐의로 기소한 것을 놓고 한 검찰 내부 관계자가 전한 말이다.
ADVERTISEMENT
검찰 수사는 다른 브랜드로도 확대될 조짐이다. 검찰 관계자는 프랜차이즈업 특성상 모호한 사업 관행이 많아 고소와 고발이 쌓이고 있다고 전했다.
프랜차이즈 수사는 검찰의 단골 수사 메뉴다. 문재인 정부에서는 압박이 더 거세지고 있다. 가맹점 본사의 갑질로부터 가맹점주들을 보호해야 한다는 선악구도를 들이대고 몰아붙이는 형국이다.
ADVERTISEMENT
검찰이 불법 행위를 눈감을 순 없다. 하지만 자칫 무리한 수사로 빠질 수 있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작년 7월 서울중앙지검이 공정거래법 위반혐의로 구속기소한 한국 피자업계의 전설 정우현 전 MP그룹(미스터피자) 회장 사례가 대표적이다. 정 전 회장은 일명 ‘치즈통행세’가 주요 혐의였다. 하지만 재판부(1심)는 무죄라고 판단했다. 업계 관행과 비즈니스에 대한 검찰의 단견을 보여주기에 충분한 결과다.
프랜차이즈는 수사 선상에 오르내리는 순간 소비자들의 따가운 시선을 견뎌내야 한다. 무죄를 받더라도 손실은 불가피하고, 피해는 결국 가맹점주들이 진다. 프랜차이즈 수사에 더 예리한 메스가 필요한 이유다. 브랜드 하나에 달린 생명줄이 수천이고 수만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