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조타운’ 수혜 수익형부동산 ‘법세권’ 눈길
전철역과 가깝다는 표현인 ‘역세권’, 명문학교 인근을 강조한 ‘학세권’, 주거지역 인근에 공원이나 산 등 자연녹지를 끼고 있다는 ‘숲세권’, 대형 공원이 있는 단지의 ‘공세권’, 강이나 호수를 끼고 있다는 ‘수세권’, 유명 프랜차이즈 매장과 가깝다는 ‘맥스권’(맥도날드), ‘스세권’(스타벅스)등의 마케팅 관련 새로운 용어가 등장해 다양한 부동산 상품 홍보에 자주 쓰이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세권의 파생과 쓰임새는 이제 부동산 마케팅에서 선택이 아닌 필수 상황이다”며 “해당 부동산 상품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소비층의 이해를 돕는데 효과적인 함축적 의미로서 향후 다양한 세권 등장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 가운데 최근에는 쇼핑몰과 인접해 있다는 ‘몰세권’도 등장했고 ‘법조타운’ 수혜를 입은 수익형부동산이라 해서 ‘法세권’도 등장해 화제다.

서울 동부지방법원 신청사 조감도
또한 이미 서울 북부지방법원과 서울 북부지방검찰청이 들어선 지하철 1호선 도봉역 일대도 ‘역세권’이면서 ‘法세권’이라 할 수 있다.

서울 동부지방검찰청 신청사 조감도
부동산시장 내 ‘세권’ 전쟁은 향후에도 꾸준할 전망이다. 하지만 부동산 투자원칙은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 상품에 따라 분양가, 실질적 수요(배후 및 임대)등은 꼼꼼히 묻고 따져야 한다.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